전체 글 135

R데이터분석을 할 때 여러가지 경우의 수

1. 데이터 전처리 과정 2. 종속변수 하나와 독립변수 여러 개를 설정 3. 모델을 만들기 전,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각각의 독립변수의 정규성과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성 확인 3.1. 종속변수 = 연속형 , 독립변수 = 연속형 인 경우3.1.1 각 변수가 정규성을 따르는지 확인 (shapiro.test)3.1.2. 정규성 여부에 따라 cor.test진행 ( 정규성을 따른다면 pearson,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다면 spearman, 작은 데이터나 비선형적 관계라면 kendall 옵션적용 ) -예시 코드cor.test(data$mpg, data$wt)# Spearman 상관계수 및 검정cor.test(mtcars$mpg, mtcars$wt, method = "spearman")  p-value-13..

R 2024.12.08

"기온(Temperature), 바람(Wind), 태양광(Solar.R) 및 주중/주말 여부가 오존 농도(Ozone)에 미치는 영향 분석

#데이터 전처리  #데이터 전처리 이후 종속변수의 정규성 판단#종속변수가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. #데이터가 비정규성이므로 이를 분석하기 위해 rlm을 사용한다. #그러기 위해 rlm을 하는데 사용되는 MASS라이브러리를 불러온다. #rlm 진행#t 값을 확인하면 주말/주중 데이터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.#따라서 주중/주말 데이터 제거하고 새로운 모델 생성 새로운 모델에서는 모든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볼 수 있고,다중공선성 검증 결과 값이 1내외로 아주 작은 값이므로 다중공선성에도 문제가 없다. 따라서 이 모델을 최종 모델로 선별한다. 함의 기온(Temp):기온이 1도 상승할 때 오존 농도는 약 1.32 ppb 증가.t-value = 7...

R 2024.12.07

전력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

https://data.kma.go.kr/data/grnd/selectAsosRltmList.do?pgmNo=36&openPopup=Y 자바스크립트가 비활성 되었습니다. 해당 기능은 자바스크립트에서 활성상태에서 사용가능합니다. 종관기상관측이란 종관" data-og-host="data.kma.go.kr" data-og-source-url="https://data.kma.go.kr/data/grnd/selectAsosRltmList.do?pgmNo=36&openPopup=Y" data-og-url="https://data.kma.go.kr/data/grnd/selectAsosRltmList.do?openPopup=Y&pgmNo=36" data-og-image=""> 기상자료개방포털[데이터:기상관측:지상:종..

R 2024.12.07

CH7. Introduction to Computational Complexity: The Sorting Problem

7.1 Computational Complexity 계산 복잡도란?  • **계산 복잡도(Computational Complexity)**는 특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 모든 가능한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학문이다. • 주로 다음 두 가지를 분석한다:  1. 시간 복잡도(Time Complexity):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데 필요한 시간. 2. 공간 복잡도(Space Complexity): 알고리즘이 사용하는 메모리 양. 여기서 중요한 것은 알고리즘을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 문제 자체의 본질적인 복잡도를 분석한다는 점이다.예를 들어, 행렬 곱셈 문제에서는 최선의 알고리즘이라도 Θ(n²) 이상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며,이를 문제의 **하한(Lower Bound)**이라고 한다. 정렬 문제의 계..

6.4 Switched Local Area Networks

스위치 기반 LAN은 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며, IP 주소 대신 **링크 계층 주소(MAC 주소)**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. 그림 6.15: 캠퍼스 네트워크 예시 이 그림은 스위치 네 개로 연결된 캠퍼스 네트워크의 예를 보여준다. 각 학과(예: 전기공학, 컴퓨터 공학 등)와 서버, 라우터가 스위치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. 1. 네트워크 구성 요소: • 스위치: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트래픽을 관리. • 서버: 메일 서버, 웹 서버 등. • 라우터: 외부 인터넷과 연결. 2. 연결 속도: • 서버와 라우터는 스위치와 1Gbps로 연결. • 학과 건물은 스위치와 100Mbps로 연결. • 학과 내부 네트워크는 혼합 속도(10Mbps~1Gbps)로 운영. 스위치가 연결된 각 네트워크는..

6.3 Multiple Access Links And Protocols

Point-to-Point Links  • 하나의 송신 노드와 하나의 수신 노드로 구성된 링크이다. • PPP(Point-to-Point Protocol)와 HDLC(High-Level Data Link Control)과 같은 프로토콜이 이 범주에 속한다. Broadcast Links  • 여러 송수신 노드가 단일 링크를 공유하며 데이터를 주고받는 구조이다. • 이 링크에서 송신된 데이터는 모든 연결된 노드에 전송된다. • Ethernet과 Wireless LAN(Wi-Fi)이 대표적인 Broadcast Links의 예이다. Figure 6.8은 다양한 Broadcast Links의 예를 보여준다. 이 그림은 Shared Wire(케이블 네트워크), Shared Wireless(Wi-Fi), Satell..

6.2 Error-Detection and Correction Techniques

오류 검출 및 수정의 개요 링크 계층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 비트 수준의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. 이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. 이 섹션에서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몇 가지 기법과, 이러한 기법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본다. Figure 6.3: 오류 검출 및 수정 시나리오설명  • 그림은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 간의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할 수 있는 오류 검출 과정을 보여준다.  1. 송신 노드에서 원래 데이터 D에 **오류 검출 및 수정 코드(EDC)**를 추가한다. 이 데이터와 EDC는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된다. 2. 전송 중 비트 오류가 발생하여 수신 노드에서 데이터 **D’**와 EDC’**로 수신될 수 있다. 3. ..

CH6.The Link Layer and LANs(6.1 Introduction od the Link Layer)

링크 계층의 주요 개념 1. Node와 Link의 정의  • Node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. 예를 들어 호스트, 라우터, 스위치, WiFi 액세스 포인트 등이 Node에 해당한다. • Link는 인접 노드 간의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. 데이터그램이 소스에서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 여러 링크를 거쳐야 한다. 2. 링크 계층의 역할 링크 계층은 데이터그램을 **링크 계층 프레임(frame)**으로 캡슐화하고 각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.이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면, 여행자가 여러 교통 수단(자동차, 비행기, 기차)을 이용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는 과정과 유사하다.이 비유에서 각 교통 수단은 링크 계층 프로토콜에 해당하고, 여행 경로를 계획하는 여행사는 라우팅 프로토콜과 같다...

5.8 Summary

SECTION 5.1R1. What is meant by a control plane that is based on per-router control?In such cases, when we say the network control and data planes are implemented “monolithically,” what do we mean?R1. Per-router control plane이란?해설:각 라우터가 독립적으로 라우팅 정보를 계산하고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. “Monolithically”는 제어 평면과 데이터 평면이 단일 장치 안에서 결합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. R2. What is meant by a control plane that is based on logically ..

5.7 Network Management and SNMP,NETCONF/YANG

네트워크 관리의 목적은 대규모 네트워크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장치와 서비스를 제어, 구성, 모니터링하는 것이다. 네트워크 관리의 정의 네트워크 관리는 다음을 포함한다: •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배포: 네트워크 장치를 추가하거나 교체. • 통합 및 조정: 네트워크 자원 간의 상호작용 최적화. • 모니터링 및 제어: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고 필요한 경우 문제를 해결. • QoS 보장: 서비스 품질 유지. 5.7.1 네트워크 관리 프레임워크네트워크 관리 프레임워크는 여러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(Figure 5.20 참조): 1. 관리 서버(Managing Server)  • 네트워크 운영 센터(NOC)에 위치. • 데이터를 수집, 처리, 분석하며, 명령을 내려 네트워크 장치를 ..